[Security] Secure Coding(2-1) - SW개발보안 방법론
[Security] Secure Coding(2-1) - SW개발보안 방법론
🔒 시큐어 코딩 수업 정리
SW개발보안 방법론
📚SW개발보안 방법론: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적용하는 접근 방식
-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(SDLC: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) 전반에 걸쳐 보안 요구사항을 반영하고, 취약점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함.
💡주요 개념:
- 보안 내재화: 개발 초기부터 보안을 고려하여 설계
- 취약점 최소화: 코드 및 시스템의 보안 결함을 줄이는 방식 적용
- 지속적인 보안 점검: 주기적인 테스트 및 검증 수행
그럼 SW개발보안은 뭘까?
📚SW 개발보안: 안전한 SW 개발을 위해 소스코드 등에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인 보안 약점을 제거하고, 보안을 고려하여 기능을 설계º구현 하는 등 SW 개발 과정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보안활동
SW개발보안 적용 시 비용 효과
SW개발보안 방법론 적용의 중요성
- 해킹, 데이터 유출 등 보안 사고 예방
- 법적 규제(개인정보 보호법, GDPR, ISO 27001 등) 준수
- 개발 비용 절감 (초기 단계에서 보안 문제 해결 시 비용 절감 효과)
-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제공으로 기업 이미지 및 서비스 경쟁력 강화
MS-SDL
📚MS-SDL(Microsoft Security Development Lifecycle): Microsoft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보안 개발 방법론
-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(SDLC) 전반에 걸쳐 보안을 내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
- 보안 취약점 최소화, 보안 사고 예방
- 강력한 보안 정책을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 적용하는 방법론
✅주요 목표:
- 보안 취약점 예방: 개발 초기부터 보안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보안 문제를 사전에 차단
- 위험 감소: 보안 테스트 및 코드 검토를 통해 공격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
- 법규 및 규제 준수: 개인정보 보호, 보안 표준(ISO/IEC 27001, GDPR 등) 준수
- 비용 절감: 개발 후반이 아닌 초기에 보안 문제를 해결하여 유지보수 비용 절감
MS-SDL 7단계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